전체 글

전체 글

    납축전지 충전하기

    집에 12V 납축전지가 하나 있는데 충전기가 망가졌다. 사실 망가진지는 꽤 됬는데 납축전지 특성상 가끔식 충전을 해주어야 내부 액이 굳지 않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충전기 사기는 귀찮고 충전기 가격도 꽤 나가는 편이라 충전기를 직접 만들어 보기로 했다. 유튜브에 검색해보니 비슷한 방법으로 충전한다. 바로 스텝다운 모듈을 이용하는 것인데, 19V정도의 노트북 아답터를 12V로 강압하여 정전류로 충전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가장 기본은 정전류이다.) 마침 저번에 구매해둔 스텝다운 모듈을 사용하기로 했다. 구매링크 이제 아답터를 준비해야 하는데 가지고있는 19V 아답터가 1개 뿐이라 급한데로 14V 3A급 아답터를 사용하기로 했다. 적어도 배터리보다 더 높은 전압의 아답터를 준비..

    알리익스프레스 USB 허브

    알리익스프레스에서 USB 3.0을 지원하는 4포트짜리 USB 허브를 구매했다. 아래는 구매좌표이다. 구매링크 7포트는 너무 많은 것 같아 4포트로 구매했으며 5V짜리 아답터도 추가로 구매했다. 배송은 알리답지 않게 9일이라는 매우 짧은 시간만에 배송되었다. (요즘 알리배송이 점점 빨라지는 것을 느낀다.) 사용해본 후기는 매우 만족이다. 제품의 마감도 좋고 (단순한 플라스틱이 아닌 약간 고무 느낌이 나는 플라스틱이다.) 또한 포트마다 전원버튼이 있어서 편리한데, 신기한것은 버튼이 눌린상태가 꺼진상태이다. 위의 사진을 보면 이해가 될것이다. USB 3.0을 지원해서 속도는 매우 빠르다. 노트북의 USB 3.0속도와 거의 동일한 것 같다. 아두이노나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할때 불의의 사고로 노트북의 USB 포트가..

    아두이노로 날씨정보 출력하기[esp8266/OpenWeatherMap]

    아두이노로 날씨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크게 기상청 RSS, 공공데이터 포털, 그리고 OpenWeatherMap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쓰인다. 이 중에서 OpenWeatherMap을 이용해 현재 날씨 정보를 출력해볼 것이다. 아래는 실제 작동사진이다. 우선 OpenWeatherMap의 API 키를 발급받아야 하는데 받는 방법은 블로그 초창기에 올린적이 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http://diy-project.tistory.com/5 API 키 발급이 완료됬다면 아래와 같이 회로를 꾸민다. I2C 통신모듈을 장착한 LCD가 필요한데 해당 LCD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http://diy-project.tistory.com/24 다음으로 아래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이제 ..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 자작 #1 (준비)

    미세먼지 시즌은 지났지만 필요로 인해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를 자작하기로 했다.아래는 현재 제작중인 PCB 기판... EasyEDA로 제작중인데, 확실히 간단한 회로제작에는 정말 좋은 툴인 것 같다. [추가] 2018/07/19거버 파일이 완성됬다.

    esp8266에 서보모터를 연결할때 주의점...

    스마트홈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esp8266에 서보모터를 연결하고 이것 저것 실험중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wemos d1 mini 보드의 전원라인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더니 순식간에 뜨거워지며 보드가 죽어버렸다. 재빨리 USB포트를 분리해서 다행이지 하마터면 과전류로 USB포트도 죽을뻔 했다. 뭐 SBC나 회로를 좀 다루다보면 합선등의 이유로 이런상황은 자주 일어나는 편이지만 (지금까지 날린 보드도 꽤 많다.) 이번에는 상황이 좀 달랐다. 합선이 원인은 아니었는데 전원선에서 연기가 날만한 원인이 없었기 때문이다. 자세히보면 USB단자 옆 다이오드 하나가 타서 부풀어 오른 상태이다. 전원부만 나간건지 esp8266도 같이 나간건지 모르겠다. 분리해보고 칩만 따로 테스트 해볼계획. 원인을 좀 생각해보니 연결된 ..

    라즈베리파이 원격모니터링하기 (라즈베리파이 원격제어)

    라즈베리파이을 유선랜으로 제어하면 노트북하나면 충분하여 편하긴 한데, 접속할 때 마다 아이피가 바뀌어 다시 입력해야한다는 것이 정말 불편하다. 물론 검색을 해보면 고정아이피를 이용하는 방법이 자세히 나와있지만 (그런데 필자의 경우 고정아이피 설정이 안됬다. 이유는 아직도 모르겠다.) 아이피를 고정했다 하더라도 VNC서버는 수동으로 열어야한다. 그래서 WiFi를 이용한 무선랜을 통해 라즈베리파이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일단 라즈베리파이를 와이파이에 연결시킨다. pi@raspberrypi: ~ $ ifconfig 위의 명령어를 입력한 뒤, 출력 결과중 wlan 0을 찾는다. 이 중 빨간색 부분에 적힌 IP 주소를 잘 기억해둔다. 이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pi@raspberrypi: ~..

    최근 알리에서 구매한 것들...

    평소에는 모듈이나 센서종류로 구매했는데, 라즈베리파이를 시작하면서 소소한 완제품(?) 이 더 많이 필요해졌다. 저 웹캠에 약 2배가 넘는 가격만 지불하면 4K액션캠 구매가능하다(...왠지 사야될 것 같은 느낌) 이렇게 이것저것 구매해보고싶어 지는게 알리의 매력인 것 같다. 가장 아래쪽은 지자기 센서인데, 최근 GPS탱크를 준비 중 이라 구매했다.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베리안 설치하기 #2

    라즈베리안이 설치된 SD카드 내용을 살펴보면 boot 경로의 cmdline.txt 가 있을것이다. 이 파일을 연다. 이 파일은 라즈베리파이가 부팅될 때 실행하는 한 줄의 명령어이다. 파일 내용을 아래와 같이 수정을 한다. dwc_otg.lpm_enable=0 console=serial0,115200 console=tty1 root=/dev/mmcblk0p2 rootfstype=ext4 elevator=deadline fsck.repair=yes rootwait 또는 아래 파일로 바꾼다. 또한 같은 경로에 config.txt가 존재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파일을 열고 맨 아래줄에 다음 두줄을 추가한다. enable_uart=1force_turbo=1 SSH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같은 경로의 빈 공간을 ..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베리안 설치하기 #1

    라즈베리파이의 대표 운영체제인 라즈베리안을 설치하기 위해 아래 사이트로 이동한다.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작성일 기준으로 4.14버전이 최신버전이다. 왼쪽 파일을 컴퓨터에 다운받고 압축을 풀어준다.압축을 풀면 이미지 파일이 하나 나오는데 이 파일을 SD카드에 구워주어야 한다. 방법은 다양하지만 크게 2가지 프로그램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1. : https://rufus.akeo.ie/downloads/rufus-2.18p.exe 2. :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files/latest/download 필자는 1번을 사용했다. 두 링크 모두 다운로드 링크인데 2번은 설치과정이 ..

    라즈베리파이 시작하기

    우연한 기회로 라즈베리파이3를 얻었다. 아직 아두이노도 제대로 못다뤄본 초심자이지만 리눅스 계열의 컴퓨터도 도전해볼 계획이다.

# 테스트용